반응형 중국7 전기차 충전 인프라 : 글로벌 차충비(전기차 수/충전기 수)는? 글로벌 차충비는 2030년에 5.1 수준차충비가 감소하는 지역은 미국과 한국!안녕하세요! WAB입니다. 오늘은 글로벌 차충비에 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여러분의 구독과 하트는 지속적인 글 쓰는 데 큰 힘이 됩니다 :) 자 그럼 오늘도 시작해 보겠습니다!글로벌 충전 인프라 차충비 비교2020년 글로벌 평균 차충비(차량 대 충전기 비율)는 1.51에서 2022년 4.74로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는 전기차 보급 속도가 충전기 설치 속도를 크게 앞질렀음을 보여주는 것이죠. 그러나 2023년 이후 차충비 증가세는 점차 둔화되어, 2030년에는 5.11로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충전기 인프라가 개선되면서 충전소 설치 속도가 전기차 보급에 맞춰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의미이.. 2024. 9. 7. 전기차 충전 인프라 : 글로벌 및 국가별 시장 현황과 전망 글로벌 충전 인프라 성장은 2030년까지 32%!그중 한국은 45%의 성장률 예상안녕하세요! WAB입니다.오늘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시장 전망에 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여러분의 구독과 하트는 지속적인 글 쓰는 데 큰 힘이 됩니다 :)자 그럼 오늘도 시작해 보겠습니다!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전 세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은 전동화율의 상승과 각국 정부의 지원 정책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 보급이 확산되면서 충전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그러나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시장에는 '캐즘(chasm)' 문제와 더불어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와 같은 안전 이슈가 잠재적인 리스크가 되겠죠.이러한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해 전기차 제조업체와 충전 인프라 공급업체는.. 2024. 9. 3. 배터리 ESS : 중국 ESS 보급 확대 정책 ESS 시장에서 중국을 빼놓을 수 없다.LFP를 기반으로 ESS 시장 거의 장악안녕하세요! WAB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ESS 보급 확대 정책에 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자세한 사항을 원하시거나, 비즈니스 문의는 아래의 메일 또는 텔레그램으로 부탁드립니다. wearethebattery@gmail.com Dr. WABWe Are the Batteryt.me여러분의 구독과 하트는 지속적인 글 쓰는 데 큰 힘이 됩니다 :) 자 그럼 오늘도 시작해 보겠습니다!중국의 ESS 시장 준비중국은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해서 뚜렷한 정책 없이 각 지방정부의 소규모 지원정책이나 보조금 등에 의한 실증사업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21년, 중국 국가개발개혁위원회와 국가에너지위원회는 신재생에너지와 ESS .. 2024. 6. 18. EU : 중국산 EV 관세 부과 (조정 후) EU, 중국산 BEV에 대한 관세 발표상계관세는 각 BYD: 17.4%, Geely: 19.9%, SAIC: 37.6%안녕하세요! WAB입니다.오늘은 최근 유럽의 중국 EV 관세 이슈에 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자세한 사항을 원하시거나, 비즈니스 문의는 아래의 메일 또는 텔레그램으로 부탁드립니다.wearethebattery@gmail.com Dr. WABWe Are the Batteryt.me여러분의 구독과 하트는 지속적인 글 쓰는 데 큰 힘이 됩니다 :)자 그럼 오늘도 시작해보겠습니다! EU의 중국 BEV 관세 부과EU는 중국의 전기차(BEV) 밸류체인이 불공정 보조금의 혜택을 받고 있어 EU 전기차 생산업체에 경제적 피해를 초래할 위협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즉.. EU 자국내의 OEM들의 전기차 .. 2024. 6. 14. 소듐이온배터리(SIBs) : 상용화 상황 LIB 보다 저렴한 배터리인 소듐이온배터리(SIB)SIBs 글로벌 선두는 중국안녕하세요! WAB입니다. 오늘은 소듐이온배터리(Sodium-ion Batteries; SIBs)에 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소듐이온배터리는 LIB보다 개발 역사가 오래되었으나, 에너지 밀도가 낮다는 이유로 상용화에 부정적이었습니다. 그러나 3년 전부터 중국의 중국과학원을 중심으로 재료 개선, 배터리 시스템 혁신 등의 기술 개발을 진행하여 '23년 전기 자전거, 오토바이 등에 최초 상용화되었고, '24년 1월에는 ESS, 소형 전기 자동차에 최초 상용화 및 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아직까지 낮은 에너지 밀도 (~160 Wh/Kg)의 문제로 응용 분야 확대가 더딜 수 있으나, 저/고온 특성 우수, 우수한 안전성, 급속 충전, 낮은 자.. 2024. 6. 1. IRA법안-배터리 : 중국(FEOC) 없으면 안 되는 이유 (2) 중국의 자신감, 광물 제련저번 글에서는 미국이 왜 중국을 100% 배제하지 못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도 이와 연결되는 부분인 광물 제련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이 부분 또한 중국의 영향력이 막강합니다. 오히려 광산 부분 보다 더 크다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 참고로, 배터리 분야에서 광물과 이러한 추출 분야를 업스트림으로 분류하는데, 배터리 supply-chain의 가장 앞단계를 이야기하는 부분입니다. 이러한 부분을 중국이 거의 장악하다시피 한다는 것이죠. 리튬 정제를 통해 LFP와 NCM으로 리튬은 광산이나 염해에서 추출되며, 이후 제련 공정을 거쳐야 합니다. 가열 및 여과 과정을 통한 제련으로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공정을 사실상 중국이 약.. 2024. 3. 21. IRA법안-배터리 : FEOC, 너네 이 산업에서 발 빼 반도체 산업과 비슷한 배터리 산업먼저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인 CHIPS Act를 알고 계시나요? 풀네임은 'Creating Helpful Incentives to Produce Semiconductors'로 이름에서부터 반도체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위해 중국을 배척하자'라는 이 법안으로 인해 중국 내에 반도체 라인이 많고 중국 고객들을 가진 한국 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잃는 것이 아니냐라는 우려가 굉장히 컸습니다.IRA 법안은 왜 나왔을까?CHIPS를 이야기하는 이유는 바로 IRA가 이 CHIPS와 같은 성격을 갖고 있는 법안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번엔 인플레이션 감축이라는 우산을 쓰고 나온 법안인 것이죠. 이전 CHIPS 법안에서는 '경제적 가치가 큰 반도체를 중국이 가져가는 꼴을 못 보겠다!.. 2024. 3. 17. 이전 1 다음 반응형